티스토리 뷰

최근 한국 정치권을 뜨겁게 달군 DDDLIST(디디디리스트) 논란, 다들 한 번쯤 뉴스에서 들어보셨죠?
이 글에서는 이 사건을 피상적인 ‘댓글 몰이’ 수준에서 넘어서,
그 운영 방식, 정치권 반응, 법적 쟁점, 사회적 의미까지 심층 분석해서 다뤄보려 합니다.
특히 앞으로 온라인 여론 형성의 문제와 개선 과제까지 짚어보겠습니다. 

 


1. DDDLIST, 무엇이고 어떻게 운영됐나?

DDDLIST는 2022년 3월부터 가동된 웹사이트로, 표면적으로는 민주당 및 이재명 대표에게 불리한 기사 댓글에 ‘우호적인 댓글’을 달아 정화한다는 목표를 내세웠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기사별 댓글 여론 상황을 색상과 단계로 분류하고, 지지자들에게 어떤 기사에 힘을 실어야 할지 좌표(링크)를 찍어주며 조직적인 여론전을 독려하는 구조였습니다. 

사이트에 접속하면 수천 개 기사 목록이 표시되고, 각 기사 옆에는 ‘좋음’, ‘우세’, ‘보통’, ‘열세’, ‘나쁨’ 같은 평가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됩니다. 만약 민주당에 불리한 댓글이 우세한 기사라면, “화력지원”, “추월가능” 같은 경고 표시가 붙습니다.
회원들은 이를 보고 포털 뉴스 댓글창으로 직행해, 지지 댓글을 달거나, 반대 댓글에 비공감을 누르며 댓글 판세를 뒤집는 데 집중했습니다. 또한 DDDLIST 내부에는 ‘민주당 낙선 대상’ 명단, 친민주당 유튜브 영상 홍보 게시판 같은 부속 게시판도 존재해, 단순 댓글 활동을 넘어 온라인 전반의 여론 형성에 영향력을 미치려는 움직임까지 포착되었습니다.

가입 조건 역시 폐쇄적이었습니다. 딴지일보, 재명이네마을, 오늘의유머, 클리앙, 보배드림 같은 친민주당 성향 커뮤니티 회원만 가입할 수 있었고, 철저히 내부 성향 일치자들끼리 움직이는 폐쇄적 조직이었습니다.


2. 조직 구조와 참여 방식

흥미로운 점은 DDDLIST가 공식 선거 캠프나 정당 조직이 아닌, 강성 지지자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사이트라는 겁니다.
하지만 그 활동 내용과 참여 방식은 실질적으로 ‘온라인 선거운동본부'와 비슷했습니다.

 

  • 기사별 실시간 데이터 집계 및 분석
  • 우세·열세 판세에 따른 지원 요청 (‘좌표 찍기’)
  • 포털 기사 댓글창 자동 연결
  • 유튜브·SNS 여론 형성까지 확장
  • 내부적 ‘낙선 대상’ 관리 준비

이처럼 단순한 팬 커뮤니티의 ‘응원’ 차원이 아니라, 조직적·체계적 작업에 가까운 성격이었던 만큼, 정치적 중립성과 공정성을 둘러싼 문제 의식이 커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3. 정치권·언론의 반응

야권 및 제3지대

개혁신당과 국민의힘 등 야권은 이 사건을 “민주당의 제2의 드루킹 사건”이라 규정하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특히 개혁신당은 “민주당은 DDDLIST의 존재를 인정하고 국민에게 사과하라”며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에게 직접 책임을 묻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국민의힘 측 인사들은
“댓글 조작의 원조는 민주당 아니냐”
“드루킹 사건도 민주당 지지 조직의 소행이었다”
며 여론전에 불을 붙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네거티브 공방”이 오가면서
국민 여론은 크게 둘로 갈라졌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의 입장

민주당 측은 공식적으로
“당 차원의 개입은 없다”
“지지자들의 자발적 행동일 뿐”
이라고 주장하며 거리를 뒀습니다.

하지만 DDDLIST 사이트의
폐쇄적 회원 구조, 기사별 좌표 찍기, 댓글 분석 등은
단순 팬덤 차원을 넘어서는 조직적 움직임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어
정치적 부담을 피하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4. 사이트 폐쇄 경위와 이후

DDDLIST는 언론 보도로 존재가 알려지자, 즉시 사이트를 잠정 폐쇄하거나 비공개 전환했습니다.
하지만 이후에도 내부적으로는 기사 수집과 댓글 여론전이 계속 이어졌다는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실제로 2024년 초 기준, DDDLIST에는 무려 6,200여 개의 기사 데이터가 등록된 상태였다고 합니다.
이는 처음 폭로됐던 1,600여 건에서 대폭 늘어난 수치입니다.

2025년 들어 대선급 선거 국면에서 논란이 재점화되자, DDDLIST는 다시 사이트를 폐쇄한 상태이며,
현재는 공개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6월 2일 현재 dddlist.net


5. 법적 쟁점

법적으로 DDDLIST는 공직선거법 제87조(유사기관 설치 금지) 위반 소지가 있습니다.
이 조항은 정당, 선거관리위원회 등 공식 기관 이외의 조직이 선거운동과 유사한 활동을 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죠.

드루킹 사건에서는 매크로 사용이 업무방해 및 정보통신망법 위반으로 처벌받았지만,
DDDLIST처럼 사람을 동원한 수작업 여론몰이는 법 적용이 더 복잡합니다.

현재까지 수사당국은 공식적인 수사 개시나 처벌 발표를 하지 않았지만,
야권 및 제3지대 정당들은 수사 및 진상 규명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6. 사회적 파장과 개선 과제

DDDLIST 사건은 한국 정치의 온라인 환경이 얼마나 취약하고 왜곡되기 쉬운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기록될 것입니다.
온라인 공간에서 정치 팬덤은 표현의 자유라는 이름 아래 여론을 압도하거나 왜곡할 수 있으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일반 시민들에게 돌아갑니다.

 

앞으로는 다음과 같은 개선 과제가 필요합니다.

 

✅ 포털 댓글 시스템의 구조적 개선 (예: 실명제, 알고리즘 투명성 강화)
✅ 선거법의 디지털 환경 적용 범위 확대
✅ 정당 및 후보 캠프의 자발적 팬덤 활동 관리 책임 강화
✅ 시민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


DDDLIST 사건은 단순한 인터넷 댓글 싸움이 아니라, 온라인 정치 여론의 신뢰성과 투명성에 대한
근본적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우리는 각 진영의 팬덤이 민주주의의 활력소가 아니라 극단적 진영 대립과 왜곡의 도구로 전락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감시와 논의를 이어가야 합니다.

여러분은 이번 사건을 어떻게 보시나요? 여러분의 생각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며 건강한 토론을 이어가는 공간이 되길 바랍니다.

 

 

 

 

우리 아이 건강 지키려면? 심장까지 침투한 플라스틱의 경고

1. 미세플라스틱, 얼마나 작은가요?정의 : 지름 5 mm 이하의 플라스틱 조각. 우리가 마시는 생수, 먹는 소금, 들이마시는 공기에도 섞여 있습니다.크기 감각 : 머리카락 한 올 두께(약 70 µm)보다도

everything-on-the-globe.tistory.com

 

 

 

하와이만 문제가 아니다! 국내 백일해 현황, 가족 여행 부모 필독 가이드

하와이에서 백일해(pertussis)가 급증 중이지만, 국내에서도 2024~2025년 환자 수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어린 자녀와 가족 여행을 준비 중인 부모님이라면 예방접종, 국내·국외 현황, 최신 통계를 꼭

everything-on-the-globe.tistory.com

 

 

 

헌법 84조, 대통령의 불소추특권이란? 쟁점과 해석 총정리

헌법 84조는 “대통령은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직 중 형사상의 소추를 받지 아니한다”고 규정합니다. 이 조항은 대통령에게 ‘불소추특권’을 부여해, 국정운영의

everything-on-the-glob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