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첫걸음

중급 투자자를 위한 심화 투자 전략(4) - EPS, BPS를 활용한 가치주 분석

반응형

주당순이익(EPS)와 주당순자산(BPS)를 활용한 가치주 투자전략에 대해 알아볼게요

 

EPS와 BPS란?

  • EPS (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 EPS는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을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한 주당 얼마나 많은 수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냅니다. EPS가 높을수록 수익성이 좋다는 의미이며, 주식이 가치가 있다고 평가됩니다.
    • 예를 들어, A기업의 순이익이 1억 원이고 주식 수가 10만 주라면, EPS는 1억 원 ÷ 10만 주 = 1,000원이 됩니다. EPS가 높을수록 투자 매력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BPS (Book Value Per Share, 주당순자산): BPS는 기업의 순자산을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주식이 자산 대비 얼마나 평가되었는지를 알려줍니다. BPS가 높을수록 자산이 풍부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B기업의 총 자산이 5억 원이고 총 부채가 2억 원, 주식 수가 5만 주라면, BPS는 (5억 원 - 2억 원) ÷ 5만 주 = 6000원입니다.

가치주 투자 전략

  • 가치주 투자에서는 EPS와 BPS가 높은 주식을 선택하여 기업의 안정성과 자산 가치를 평가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BPS가 높고 현재 주가가 낮은 주식은 저평가된 주식으로 판단하여 장기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 주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